생활정보

당뇨 혈당관리 / 공복혈당 정상 범위 / 식후혈당 정상 범위 / 당뇨병 / 직장인 당뇨관리

FIRE Potato 2023. 8. 20. 11:19


현대인들은 영양과다의 시대에 살고 있다고 해도 틀린말이 아닐 것입니다. 특히 당이 넘쳐나는 세상에 살다보니 건강할 때 부터 혈당 관리를 하지 않아 혈당이 높아진 상태에 도래해 버리면 다시 건강하게 혈당 관리를 하기는 매우 어렵다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사무직 직장인인 저도 나이를 한살 한살 먹어감에 따라 매년 건강검진 결과로 나오는 혈당의 수치가 조금씩 높아지는 것을 느끼고 있습니다. 

건강한 노후 생활을 위해서 한 살이라도 어릴 때 부터 식생활, 운동습관을 통해 혈당관리를 해야함을 절실히 느끼고 있습니다.

 

오늘은 혈당관리를 위해 알아야할 공복혈당, 식후혈당에 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복혈당

공복혈당은 8~12시간 정도 금식 측정한 혈당을 말합니다. 아침에 자고 일어나서 혈당은 전날의 평균 혈당을 파악할 있는 지표이자 당뇨병 조절 정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정기 건강검진을 받을 검사하는 항목도 공복혈당입니다.

공복혈당은 당뇨병의 초기 징후를 포함해 다양한 건강 문제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지표  하나입니다.

 

공복혈당의 정상 수치는 70mg/dL에서 100mg/dL 사이입니다. 하지만 개인마다 약간의 변동이 있을 있으며, 의사와 상담하여 개인적인 목표 수치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공복혈당 수치가 100mg/dL 이상이라면 당뇨병 위험이 증가할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공복혈당

 

 

식후혈당

식후혈당은 식사를 시작한 시점부터 2시간이 지난 후 측정한 혈당입니다. 식사를 하면 혈당이 상승을 하게 되는데 식후혈당이 140 미만이라면 정상범위입니다. 당뇨가 있는 분이 식후혈당이 180 미만이라면 식사 관리가 잘 되는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식후혈당
 

 

 


300x250

 

공복혈당 VS 식후혈당 무엇이 중요할까?

 
공복혈당 vs 식후혈당

 

 

 

공복혈당과 식후혈당은 당뇨 유형에 따라 중요성이 다릅니다.

 

1형 당뇨는 공복, 식전, 식후 혈당 모두 중요합니다.

 

2형 당뇨의 경우는 초기 당뇨는 공복혈당을 바탕으로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진행 정도에 따라 공복, 식후 혈당 모두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성인병)

일반적인 성인의 경우 2형 당뇨로 공복혈당 관리가 우선 입니다.

 

 

당뇨 타입

 

 

1 당뇨병은 자가면역 과정에 의해 췌장 베타 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생산이 감소하거나 없어지는 질환이며, 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희귀한 형태의 당뇨병입니다.  1 당뇨병은 자가면역 과정에 의해 발생하는 자신의 면역 체계가 베타 세포를 공격하고 파괴하는 결과로 발생합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2 당뇨병은 세포 내에서 인슐린의 효과가 점차 감소하면서 발생하는 만성적인 대사성 질환으로, 비만과 관련이 깊습니다. 2형 당뇨병은 일반적인 성인병의 원인인 주로 불규칙한 식습관과 부족한 신체 활동으로 인해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는 세포 내에서 인슐린의 효과가 떨어져 혈당 조절이 어려워지는 상황을 만듭니다.

 

 

만약 공복혈당이 어느 정도 정상 수치가 나온다면 식후혈당 조절에 들어갈 차례입니다. 또 임신성 당뇨병인 경우에도 식후혈당 상승이 도드라지는 만큼 식후혈당을 꼭 측정해 봐야 한다. 한국당뇨협회는 당뇨인이라면 기본적으로 혈당을 자주 체크해볼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혈당 체크 장비는 인터넷에서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습니다. (광고 아님)

 

 

혈당관리기 예시 - 광고아님

 

 

공복혈당의 1단계 목표는 130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126 이상 당뇨, 100 미만 정상)

식후혈당의 1단계 목표는 180 미만, 2단계는 140 미만으로 유지하는 것입니다. (200 이상 당뇨, 140 미만 정상)

 

 

당뇨인 혈당관리 목표


 

반응형